분류 전체보기(229)
-
Async-Await
개념 await을 쓰면 promise가 resolve돼서 then에서 받은 결과값을 일반함수의 리턴값을 받듯이 사용할 수 있다. function delayp(sec){ return new Promise((resolve,reject)=>{ setTimeout(()=>{ resolve(new Date().toISOString()); },sec*1000); }) } async function myAsync(){ const time = await delayp(1); console.log(time); return 'hi' } myAsync().then((result)=>{ console.log(result); })
2020.09.21 -
EditText 관련 에러와 수정사항
edittext는 말썽이많다.. clickable = true cursorVisible = false enabled = true imeOptions = actionDone 등등.. 값들 셋팅을안해주니 빈값으로 다음에딧텍스트로 넘어갔다가 다시 돌아올때 requestFocus를 안먹었다 이번엔 포커스 잘 먹는데 값이 안보이네..
2020.09.13 -
부동소수점
반올림 cout.precision(2) cout
2020.09.11 -
입력,출력
헤더에 추가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입,출력 효율적으로하기 단, scanf printf와 함께 사용못함 ios::sync_with_stdio(0); cin.tie(0) 한줄 통째로 읽기 string s; getline(cin,s) 데이터양을 알수없을때 while(cin>>x){ } 텍스트파일 읽을때 freopen("input.txt", "r", stdin); freopen("output.txt", "r", stdout);
2020.09.11 -
[React Error] React limits the number of nested updates to prevent infinite loops.
onClick 이벤트에서 발생한다
2020.09.06 -
ETF란?
ETF? Exchange Traded Funds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라고 한다. 즉, 펀드이기는 펀드이지만 상장된 주식처럼 언제든지 필요할 때 매매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상장된 펀드인 셈이다. 증권사나 은행 등에서 가입하는 펀드를 거래소에서 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. 펀드를 증권거래소에서 개별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ETF 투자를 할 때에는 증권사 계좌를 만든 후 자신의 컴퓨터에 HTS(홈트레이딩시스템)를 설치하여 자신이 직접 투자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. (당연히 주식거래소 시장의 개, 폐장 시간과 동일하게 움직인다. *장외 주식과는 당연히 다르다.) ETF 상품 종류 섹터 ETF - 지수투자보다 변동성은 크지만 위험을 분산할 수 있다. 인버스 ETF - 코스피지수가 떨어지면 이익을..
2020.09.01